본문 바로가기
Make the Learning Curve

[Neural Network] 신경망의 기원

by 에이도 2020. 12. 18.

Neural Network의 역사와 기술적 발전과 연구 (feat. 고냥이)

 

출처 : https://goodpsychology.wordpress.com/

 

 1958년에서 1959년, 데이비드 H. 허벨(David H. Hubel)과 토스텐 위젤(Torsten Wiesel)은 시각 피질의 구조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를 얻은 고양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. 

고양이가 어떤 자극을 보았을 때 시각적 신경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실험을 통한 증명을 했습니다.

 

 처음 두 눈으로 관찰 했을때는 간단한 simple cells이 자극이 되어 다음 셀로 전달이 됩니다.

그다음 조금 더 복잡한 Cell에서 자극을 받은 정보를 모두 받고,

또 다음 Cell로 전달하여 더 복잡한 Cell에서 인식하게 합니다.

 

최종적으로는 이렇게 전달된 많은 복잡한 정보들을 통해 "사물을 인식한다."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습니다. 

이러한 생물학적으로 동작하는 메커니즘을 사람이 고안하는 아키텍처가 정보를 뽑아서 전달할 수 있다면 모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연구했다고 합니다! 

 

이러한 아키텍쳐가 지금의 신경망과 유사하고 기원이 되었다고 합니다.

 

 

이들은 이 실험을 통해 시각 피질 안에 있는 수많은뉴런이 작은 국부 수용 영역(local receptive field)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.

 

[참고] wiki 

이는 뉴런이 시야에 들어온 일부 범위 안에 들어온 시각 자극에만 반응한다는 뜻이다. 뉴런의 수용 영역은 서로 겹칠 수 있으며, 이렇게 서로 겹친 수용 영역이 얼러져 전체 시야가 이루어진다. 또한 어떤 뉴런은 수직선의 이미지에만 반응하고, 어떤 뉴런은 특정 각도의 선에만 반응하는 반면에 어떤 뉴런은 넓은 수용 영역을 가진 데 반해 저수준의 패턴이 합친 복잡한 패턴(글귀 사물 등)에 반응한다는 것이 밝혀졌다.

이러한 관찰을 통해 허벨과 위젤은 높은 수준을 갖춘 뉴런이 바로 옆에 있는 낮은 수준을 가진 뉴런의 출력에 기반한다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. 이 아이디어가 바로 지금의 합성곱 신경망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. 이후 1998년에 발표된 '사물 인식에 적용하는 그라디언트 기반 학습'(LeCun et al., 1998) 논문에서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데 사용한 LenNet-5를 소개하면서 합성곱 신경망이 이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다.

댓글